목록전체 글 (45)
aessetos
‘동정’의 감정은 동정 대상이 처한 상황이 불만족스럽고, 좀 더 낳아지 기를 바라는 감정이, ‘수치심’의 감정은 자신이 한 언행 등이 불만족스럽다는 감정 과, 타인이 그러한 언행을 빨리 잊어주기를 바라는 감정 등이 내포되어 있다. ‘노 여움’의 감정은 어떤 사태가 뜻대로 되지 않았거나 했을 때 나타나는 감정으로, 발 생한 사태에 대해서 불만족스러워하고, 그러한 사태가 앞으로 좋아지길 바라는 감 정이 내포되어 있다. ‘두려움’의 감정인 ‘두렵다’도 다가올 사태가 자신에게 이롭게 작용하지 않을 수도 있음에 대해서 불만족스러워하고 자신에게 이롭게 작용하길 바라는 감정이 내포되어있다. ‘바람’의 감정도 마찬가지로 감정 주체가 처한 상황 - 116 - 에 대해 불만족스러워하는 감정과, 그러한 상황이 좋아지기를 바..
[1] 호감 130) ‘흥분하다’는 발화 상황에 따라 만족의 의미와 불만족의 의미 두 가지로 쓰인다. 만 족의 의미일 경우는 ‘기쁨’의 영역에 해당하고 불만족의 의미일 경우는 ‘화’의 영역에 해당한다. 131) 따라서 ‘기쁨’의 의미 영역은 기쁨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동사만 해당하는 것으로 분 류하여 ‘좋아함’의 영역과 구별하기로 한다. 132) 결국 크게 보면 ‘좋아함’의 의미 영역도 ‘기쁨’에 속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112 - 감미롭다, 귀엽다, 끌리다, 도취하다, 매료되다, 매혹하다, 반하다, 사랑하다, 사모 하다, 아름답다, 애지중지하다, 애착하다, 연모하다, 연정하다, 열애하다, 예쁘다, 정가다, 정겹다, 좋아하다, 짝사랑하다, 친애하다, 호감가다, 흠모하다, 흥미롭다, 흥미진진하다 …… ..
부록에 제시된 감정동사의 의미 영역을 세부적으로 분류해 본 바에 따르면, 희 (喜)와 애(愛)의 감정인 ‘기쁨, 좋아함’의 의미를 갖는 동사들은, ‘기쁨, 감동, 통쾌 함, 호감, 반가움, 신뢰감, 만족감, 자랑스러움, 자신감, 안정감, 공감, 고마움’의 의 미를 가진다. 그리고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노(怒), 애(哀), 구(懼), 오(惡), 욕(慾)’의 감정인 ‘동정, 수치심, 노여움, 슬픔, 두려움, 싫어함, 바람’의 의미를 갖는 동사들은 ‘동정, 수치심, 불만, 슬픔, 억울함, 화, 원망, 답답함, 외로움, 난처함, 걱 정, 초조함, 미안함, 후회, 실망, 허망, 아쉬움, 냉담, 그리움, 불쾌, 반감․거부감, 치사함, 시기, 불편함․귀찮음, 바람․욕심, 서먹함, 심심함, 싫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