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5)
aessetos
지금까지 ‘감동하다, 실망하다, 심심하다, 시기하다’가 문맥에 따라 내포하고 있 는 의미를 살펴보았는데,102) 감정동사가 문맥에 내포하고 있는 의미는 곧 또 다른 감정동사의 의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감정동사들의 의미가 서로 밀접하게 연접 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연접 양상을 고찰한 바에 의하면 한가지 동사에 연접된 여러 동사들 중에는, 모든 문맥에서 항상 나타나는 동사들이 있다. ‘감동하다’의 경우는 ‘만족스럽다, 기쁘다’의 동사와 항상 연접되어 나타나고, ‘심심하다’는 ‘불만스럽다, 102) ‘감동하다, 실망하다, 심심하다, 시기하다’는 각각 4.2의 의미 영역 분류에서 ‘감동’, ‘실망’, ‘외로움’, ‘시기’의 의미 영역에 해당하는 동사들로, 이들은 다른 동사류에 비해 서..
이렇게 보면 ‘감동하다’라는 동사는 문맥에 따라서 ‘기뻐하다, 만족해하다, 반갑 다, 안심되다, 신뢰하다, 고맙다, 믿음직하다’ 등의 또 다른 감정동사 의미를 내포 한다는 것인데, 이는 ‘감동하다’의 의미가 ‘기뻐하다, 만족해하다, 반갑다, 안심되다, 신뢰하다, 고맙다, 믿음직하다’의 의미와 연접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101) 특이한 것은 위의 모든 예문에 ‘만족하다, 기뻐하다’가 공통적으로 내포되어 있다는 것이 다. 모든 감정동사는 문맥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내포되어 있는 동사들이 있다. 이는 다음의 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은 ‘실망하다’의 예이다. (6) ㄱ. 일이 계획대로 되지 않아 실망했다. ㄴ. 천박한 말씨 때문에 금방 실망하게 되는 사람도 있다. ㄷ. 아무 것도 발견하지 못하자 크게 ..
4.1. 감정동사의 보편적 의미 특성 4.1.1. 정도성과 연접성 감정동사는 본고 3.3.1에서 살폈듯이, ‘정도성’의 의미 특성이 있다. 이 ‘정도성’은 한편으로 의미의 ‘연접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본 절에서는 먼저 감정동사 의 의미의 정도성에 대해 살펴본 후, ‘연접성’과 관련지어 고찰해보기로 한다. 아울 러 몇몇 어휘를 대상으로 해서 감정동사의 연접 양상도 살펴보자. (1) {가장/지극히/아주/훨씬/더욱/상당히/꽤……}. {슬프다/화난다/밉다/부러워하 다/지루하다/기쁘다/만족하다/좋아하다/시원하다/예뻐하다……}. 감정동사는 (1)과 같이 정도 부사어와 자연스런 호응 관계를 이룬다. 그런데, 정도 - 87 - 부사어는 피수식어가 ‘정도성’을 지니지 못하거나 ‘동작 동사’일 경우는 아래처럼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