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ssetos
발화 상황과 만족 및 불만족의 의미 본문
[1] 호감 130) ‘흥분하다’는 발화 상황에 따라 만족의 의미와 불만족의 의미 두 가지로 쓰인다. 만 족의 의미일 경우는 ‘기쁨’의 영역에 해당하고 불만족의 의미일 경우는 ‘화’의 영역에 해당한다. 131) 따라서 ‘기쁨’의 의미 영역은 기쁨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동사만 해당하는 것으로 분 류하여 ‘좋아함’의 영역과 구별하기로 한다. 132) 결국 크게 보면 ‘좋아함’의 의미 영역도 ‘기쁨’에 속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112 - 감미롭다, 귀엽다, 끌리다, 도취하다, 매료되다, 매혹하다, 반하다, 사랑하다, 사모 하다, 아름답다, 애지중지하다, 애착하다, 연모하다, 연정하다, 열애하다, 예쁘다, 정가다, 정겹다, 좋아하다, 짝사랑하다, 친애하다, 호감가다, 흠모하다, 흥미롭다, 흥미진진하다 …… [2] 반가움 달갑다, 반갑다 [3] 신뢰감 든든하다, 듬직하다, 미덥다, 미쁘다, 믿다, 슬겁다 …… [4] 만족감 만족하다, 보람차다, 뿌듯하다, 자족하다, 좋다133), 흡족하다 …… [5] 안정감 담담하다, 맘놓다, 안도하다, 안심하다, 안정하다, 태평하다, 편안하다, 평온하다 …… [6] 공감 공감하다, 교감하다, 동감하다 …… [7] 감동 감개무량하다, 감격스럽다, 감격하다, 감동하다, 감명되다, 감복하다, 감탄하다, 감흥일다, 경탄하다, 뭉클하다, 벅차다, 열광하다, 전율하다, 찡하다, 탄복하다 …… [8] 통쾌함 가뿐하다, 개운하다, 상쾌하다, 속시원하다, 시원하다134), 통쾌하다, 홀가분하다, 후련하다 …… [9] 자랑스러움 대견하다, 영광되다, 자랑하다 …… 133) ‘좋다’의 경우 ‘호감’의 의미를 지니는 경우도 있다. 134) ‘시원하다’의 의미는 신체감각의 느낌으로서의 감각동사적인 의미와 마음의 상태를 나타내는 감정동사로서의 의미를 공유하는데, 본고에서 ‘시원함’의 영역으로 제시한 영역의 어휘는 물론 감각동사로서의 의미가 아닌 감정동사로서 ‘마음이 시원스러운’의 의미이다. - 113 - [10] 자신감 고무되다, 기고만장하다, 떳떳하다, 만만(漫漫)하다, 우쭐하다, 의기양양하다, 자 긍하다, 자부하다, 자신만만하다, 자신하다 …… [11] 고마움 감사하다, 고맙다, 은혜롭다, 황송하다 …… ‘[1] 호감’의 의미를 지니는 감정동사는 ‘좋아함’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동사 이다. 그 외의 의미 영역들은 ‘좋아함’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모두 어떤 대상이나 사태에 대해서 좋아하는 마음이 있음이 드러나 있는 동사들이 다. 다만 ‘공감, 자신감, 신뢰감, 만족감, 고마움, 안정감’에 해당하는 동사들은 ‘기 쁨’의 정도가 ‘반가움, 자랑스러움, 통쾌함, 감동’ 보다는 약하다. 4.2.2. 불만족의 의미 영역 불만족의 감정을 표현하는 동사들은 만족의 감정을 표현하는 동사들 보다 그 어 휘 수도 월등히 많고, 따라서 그 감정의 영역들도 훨씬 다양하게 나타난다. 불만족 의 의미를 가지는 정서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노(怒), 애 (哀), 구(懼), 오(惡), 욕(慾)’으로 그 의미 영역은 ‘동정, 수치심, 노여움, 슬픔, 두려 움, 싫어함, 바람’이다. 그런데 이에 해당하는 감정은 모두 ‘불만족스런’ 어떤 대상 이나 사태가 전제되었을 때 가질 수 있는 감정들이다. 어떤 사태나 대상이 불만족 스러우면, 감정 주체는 당연히 그 사태나 대상이 만족스런 사태로 변하기를 바란 다. 따라서 불만족의 의미 영역에 해당하는 감정동사는 모두 ‘불만족’과 ‘바람’의 감정을 내포하고 있다.135) 다음의 예문을 보자. 135) 다만, ‘놀람’을 나타내는 감정동사는 ‘불만족’이나 ‘바람’의 감정을 내포하지 않는다. 이것은 ‘놀라다’류의 동사들의 감정 지속 시간이, 다른 감정동사에 비해 훨씬 짧은 데 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놀람’의 의미 영역을 가지는 동사들은 다른 감정동사들과 달리, 아주 짧은 순간 발생했다가 아주 짧은 순간에 소멸되는 감정으로, 감정 주체가 놀라는 감정 외에 여타의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놀람’의 의미 영역을 갖는 감정동사들은 대체로 표현된 일차적 의미만을 지니 고, 다른 감정동사 의미가 내포되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 114 - (38) ㄱ. 남녀가 불평등하다고 억울해 하던 그녀의 의견을 무시할 수 없었다. ㄴ. 중간에 추방되어 돌아가야 한다면 억울해서 안 될 것이다. (39) ㄱ. 나의 삶은 무서울 만큼 권태롭고 외로워 견디지 못하겠다. ㄴ. 혼자 남은 견우는 더욱 외로워진다. (38 ㄱ)의 ‘불평등하다고 억울해 하는’ 감정에는 불평등한 상태가 불만스럽고, 따라 서 평등해지길 바라는 마음이 내포되어 있고, (38 ㄴ) ‘추방당해 억울해 하는’ 감정 에는 자신이 추방당한 사실이 불만스럽고, 자신은 추방당하지 않았어야 하는데 추 방당했다는 사실을 타인들이 알아주길 바라는 마음과, 앞으로 이런 상태가 잘 풀 려지길 바라는 마음이 내포되어 있다. (39 ㄱ)의 ‘나의 삶이 권태로워서 외로워하 는 감정’에는 내가 권태로운 삶에 대한 불만스러워 하고, 그러한 권태로운 삶이 더 좋아지기를 바라는 감정이 내포되어 있다. (39 ㄴ)의 ‘혼자 남은 견우가 외로워하 는 감정’에는 견우가 혼자 남은 상황을 불만스러워하고, 또 그런 상황이 좋아지기 를 바라는 감정이 내포되어 있다. (40) ㄱ. 지수는 지난 일들을 생각하고 부끄러워 얼굴을 들 수 없이 되었다. ㄴ. 잘 모르면서도 모른다는 것이 부끄러워 물어 볼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41) ㄱ. 하루종일 고생한 수고도 몰라주는 남편이 야속해 화가 났다. ㄴ. 세상인심이 야박하기로 해도 너무 하는구나! (40 ㄱ)의 ‘지난 일들을 생각하고 부끄러워하는’ 감정에는 자신이 과거에 한 언행 들에 대해 스스로 불만스러워 하는 감정과, 타인이 자신이 한 부끄러운 언행 등을 잊어줬으면 하는 마음이 내포되어 있다. (40 ㄴ)의 ‘모른다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감정에는 자신이 어떤 것을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 불만스럽고, 그것을 알고 싶다 는 감정이 내포되어 있다. 예문 (41 ㄱ)의 ‘종일 고생한 수고도 몰라주는 남편을 야속해하는 감정’에는 남편이 자신의 수고를 알아주기를 바라는 감정과, 그럼에도 몰라주는 남편에 대한 불만스런 감정이 내포되어 있다. (41 ㄴ)의 ‘세상 인심이 야 박하다고 느끼는 감정’에는 세상 인심에 대해 불만스러워 하는 감정과, 세상 인심 이 좀더 좋아지길 바라는 감정이 내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115 - (42) ㄱ. 결과를 수긍하는 태도이긴 하지만 대부분은 속으로 불편해한다. ㄴ. 김대통령은 농어촌 주부들이 가장 불편해하는 것은 주택문제라고 지적 했다. (43) ㄱ. 그의 재능을 저는 항상 부러워하고 질투해온 바입니다 ㄴ. 분위기를 즐겁게 이끌어 가는 사람들을 부러워하기도 한다. (42 ㄱ)의 ‘결과에 대해 속으로 불편해 하는 감정’에는 결과에 대해 불만족하는 감 정과, 그 결과가 만족스런 방향으로 바뀌었으면 하고 바라는 감정이 내포되어 있 다. (42 ㄴ)의 ‘농어촌 주부들이 주택을 불편해 하는 감정’에는 농어촌 주부들이 농 촌의 주택에 대해 불만족하고 있고, 더 좋은 주택에서 살기를 바라는 감정이 내포 되어 있다. (43 ㄱ)의 ‘그의 재능을 부러워하는 감정’에는 자신의 재능이 그의 재능 보다 더 못한 상태가 불만스럽고, 자신의 재능도 그처럼 탁월했으면 하고 바라는 감정이 내포되어 있다. (43 ㄴ)의 ‘분위기를 이끄는 사람을 부러워하는 감정’에는 자신도 그런 사람처럼 분위기를 이끄는 재주가 있었으면 하고 바라는 마음과, 자 신은 그런 재주가 없는 사실에 불만스러워 하는 감정이 내포되어 있다. 위의 예문들은 ‘슬픔, 싫어함’의 의미 영역에 해당하는 동사들을 포함한 구문을 예로 든 것인데, 예들로 보아 불만족의 감정을 표현한 감정의 영역들은 대체로 불 만스러운 감정과 상황이나 사태가 더 좋아지기를 바라는 감정이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예로 든 감정영역 외에 ‘동정, 수치심, 노여움, 두려움, 바람’의 영역들도 마 찬가지이다.
'동양어문학, 동쪽의 말과 이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정 중 오에 해당하는 감정 (0) | 2020.09.06 |
---|---|
동정의 감정 (0) | 2020.09.06 |
칠정에서 애에 해당하는 감정 (0) | 2020.09.06 |
감정의 의미 영역 (0) | 2020.09.06 |
감정동사의 소극적 통제성 (0) | 202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