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ssetos
동정의 감정 본문
‘동정’의 감정은 동정 대상이 처한 상황이 불만족스럽고, 좀 더 낳아지 기를 바라는 감정이, ‘수치심’의 감정은 자신이 한 언행 등이 불만족스럽다는 감정 과, 타인이 그러한 언행을 빨리 잊어주기를 바라는 감정 등이 내포되어 있다. ‘노 여움’의 감정은 어떤 사태가 뜻대로 되지 않았거나 했을 때 나타나는 감정으로, 발 생한 사태에 대해서 불만족스러워하고, 그러한 사태가 앞으로 좋아지길 바라는 감 정이 내포되어 있다. ‘두려움’의 감정인 ‘두렵다’도 다가올 사태가 자신에게 이롭게 작용하지 않을 수도 있음에 대해서 불만족스러워하고 자신에게 이롭게 작용하길 바라는 감정이 내포되어있다. ‘바람’의 감정도 마찬가지로 감정 주체가 처한 상황 - 116 - 에 대해 불만족스러워하는 감정과, 그러한 상황이 좋아지기를 바라는 감정이 내포 되어 있다.136) 따라서 ‘동정, 수치심, 노여움, 슬픔, 두려움, 싫어함, 바람’의 불만족의 의미 영역 은 모두 ‘불만족하다’, ‘바라다’의 감정동사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 다. 4.2.2.1. 동정(惻隱之心) 사단 중에서 측은지심(惻隱之心)에 해당하는 감정인 ‘동정’의 의미를 가지는 동 사들은 아래와 같다. [1] 동정 가련하다, 가엽다, 동정하다, 딱하다, 불쌍하다, 비련하다, 안쓰럽다, 안타깝다, 애 련하다, 애잔하다, 애처롭다, 애틋하다, 연민하다, 처량하다137), 처절하다138), 측은 하다…… ‘동정’의 의미 영역에는 ‘동정’의 감정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동사들만 해당한 다. ‘노여움’이나 ‘슬픔’ 등의 의미 영역이 해당하는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동사와, 부차적으로 그 감정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동사를 가지는 것과는 다른 점 이다.139) 4.2.2.2. 수치심(羞惡之心) 사단 중에서 수오지심(羞惡之心)에 해당하는 감정인 ‘수치심’의 의미를 가지는 동사들은 아래와 같다. 136) 예문은 생략키로 한다. 137) ‘처량하다’는『국립국어대사전』에서 보면 ‘마음이 구슬퍼질 정도로 외롭거나 쓸쓸하 다’와 ‘초라하고 가엾다’의 의미로 원인 중심 감정동사일 경우는 ‘슬픔’이나 ‘외로움’의 의미 영역에 해당하고, 대상 중심 감정동사일 경우는 ‘동정’의 의미 영역에 해당한다. 138) ‘처절하다’도 『국립국어대사전에』에서 보면 ‘몹시 처량하다’의 의미이다. 따라서 ‘처 절하다’도 ‘처량하다’와 마찬가지로 ‘동정’과 ‘슬픔’의 두 의미 영역에 해당한다. 139) 자세한 논의는 본고 4.2.2.3.~4.2.2.7.에서 이루어진다. - 117 - [1] 수치심 남부끄럽다, 낯간지럽다, 낯뜨겁다, 망신스럽다, 무색하다, 무안하다, 민망하다, 부끄럽다, 수줍다, 수치스럽다, 쑥스럽다, 자괴하다, 창피하다, 치욕스럽다 …… ‘수치심’의 의미 영역도 ‘동정’의 의미 영역과 마찬가지로 ‘수치심’의 감정이 직접 적으로 드러나는 동사들만 해당한다. 4.2.2.3. 노여움(怒) 칠정 중에서 노(怒)에 해당하는 감정인 ‘노여움’의 의미를 가지는 동사들은, ‘노 여움’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동사나 ‘노여움’, ‘원망’, ‘불쾌감’의 감정을 동반하는 동 사이다. [1] 분노 개탄하다, 격노하다, 격분하다, 격앙하다, 격하다, 골나다, 노발대발하다, 노엽다, 노하다, 발끈하다, 부아나다, 분개하다, 분노하다, 분통터지다, 분하다, 비분강개 하다, 성나다, 성질나다, 속상하다, 신경질나다, 약오르다, 역정나다, 역정내다, 울 분하다, 울화치밀다, 원통하다, 진노하다, 짜증나다, 화나다, 흥분하다140)…… [2] 원망 원망하다, 탓하다 [3] 불쾌 불쾌하다, 언짢다 ‘노여움’의 의미 영역에 해당하는 동사들은 ‘노여움’의 의미를 직접적으로 표현한 동사이고, ‘원망, 불쾌’에 해당하는 동사들은 감정이 반응하는 대상이나 사태에 대 하여 ‘노여움’의 감정이 있음이 부차적으로 드러나는 동사이다. 140) ‘흥분하다’는 기쁨을 동반한 흥분과, 분노를 동반한 흥분의 두 가지가 있다. ‘화’의 영 역에 속하는 흥분은 물론 ‘분노’를 동반한 흥분이다. - 118 - 4.2.2.4. 슬픔(哀) 칠정 중에서 애(哀)에 해당하는 감정인 ‘슬픔’의 의미를 가지는 동사들은 ‘슬픔’ 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동사들과, ‘억울함, 외로움, 후회, 그리움, 실망, 허망’의 의미 를 갖는 동사들이다. [1] 슬픔 개탄하다141), 고통스럽다142), 괴롭다, 구슬프다, 눈물겹다, 비장하다, 비참하다, 비 탄하다, 비통하다, 뼈아프다, 서글프다, 서러워하다, 서럽다, 설워하다, 슬프다, 아 리다143), 아프다144), 애달프다, 애절하다, 애통하다, 애틋하다, 우울하다, 울적하 다, 음울하다, 참담하다, 처량하다, 처연하다, 처절하다, 처참하다, 침울하다, 침통 하다, 탄식하다, 통탄하다, 한맺히다145), 한스럽다, 한탄하다, [2] 억울함 기막히다, 맺히다, 분하다, 어이없다, 어처구니없다, 억울하다, 원통하다, 탄식하 다, 한맺히다, 한스럽다, 한탄하다 …… [3] 외로움 고독하다, 고립되다, 고적하다, 삭막하다, 삭연하다, 소소하다, 소외되다, 쓸쓸하 다, 외롭다, 적막하다, 적적하다, 처량하다 …… [4] 후회 가책하다, 뉘우치다, 자책하다, 책망하다, 탄식하다, 한탄하다, 회개하다, 회한하 다, 후회하다 …… 141) ‘한탄하다’는 ‘원통하거나 뉘우치는 일이 있을 때 한숨을 쉬며 탄식함’의 의미로 ‘탄 식하다’와 동의어인데, ‘한탄하다, 탄식하다’는 ‘억울함’, ‘후회’의 의미가 있다. ‘개탄하 다’는 ‘분하거나 못마땅하게 여겨 한탄함’의 의미로, ‘탄식하다, 한탄하다’의 의미에 ‘화’의 의미가 수반되어 있다. 142) ‘고통스럽다’는 감각동사로서의 의미는 제외한 의미이다. 143) ‘아리다’는 ‘마음이 몹시 고통스럽다’의 의미로 ‘혀끝을 찌를 듯이 알알한 느낌이 있 다’와 ‘상처나 살갗 따위가 찌르는 듯이 아프다’의 감각동사로서의 의미는 제외한다. 144) ‘아프다’도 ‘아리다’와 마찬가지로 감각동사의 의미는 제외한 의미이다. 145) ‘한스럽다’와 ‘한맺히다’는 ‘몹시 원망스럽고 억울하거나 안타깝고 슬퍼 응어리진 마 음’으로 ‘슬픔’ 뿐 아니라 ‘억울함’의 의미 영역에도 속한다. - 119 - [5] 실망 낙담하다, 낙망하다, 낙심하다, 맥빠지다, 상심하다, 실망하다, 좌절하다 …… [6] 허망 공허하다, 덧없다, 망연하다, 무상하다, 씁쓸하다, 허망하다, 허무하다, 허전하다, 허탈하다, 허허롭다 …… [7] 그리움 그립다 ‘[1] 슬픔’의 영역에 해당하는 동사는 ‘슬픔’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동사이다. ‘억울함, 후회, 그리움, 실망, 허망’의 영역에 해당하는 동사는 어떤 대상이나 사태 에 대해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을 표현한 것으로, 모두 ‘슬픔’의 의미를 내포한다. ‘외로움’의 경우는 대상이나 사태에 대해서 느끼는 것이 아니라, 감정 주체가 내적 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역시 ‘슬픔’의 의미를 내포한다. 4.2.2.5. 두려움(懼) 칠정 중에서 구(懼)에 해당하는 감정인 ‘두려움’의 의미를 가지는 동사들은 ‘두려 움’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경우의 동사들과 ‘초조함, 위축감, 걱정, 놀람, 미안함’의 의미를 갖는 동사들이다. [1] 두려움 겁나다, 공포스럽다, 두렵다, 무섭다, 무시무시하다, 섬뜩하다, 소름끼치다, 스산 하다, 황공하다 …… [2] 걱정 걱정하다, 고뇌하다, 고민하다, 노심초사하다, 번뇌하다, 번민하다, 속타다, 시름 겹다, 심려하다, 애끓다, 애타다, 염려하다, 우려하다, 전전긍긍하다146) …… 146) ‘노심초사하다, 전전긍긍하다, 속타다, 애타다’는 ‘걱정’을 표현하는 어휘이면서 동시 에 ‘초초함’을 표현하는 어휘이다. 뭔가를 걱정하는 감정 자체에 ‘초조함’이라는 감정 이 내포되어서 이들을 분류하는데 어려움이 있기는 하지만, 위에서 분류하여 제시한 어휘에서 보듯, ‘노심초사하다, 전전긍긍하다, 속타다, 애타다’의 어휘를 제외하면 걱정 을 표현하는 어휘와 초조감을 표현하는 어휘는 구별이 가능하므로 개별적인 의미 영 - 120 - [3] 초조함 긴장하다, 노심초사하다, 뒤숭숭하다, 불안하다, 속타다, 심란하다, 싱숭생숭하다, 아슬아슬하다, 안달복달하다, 안달하다, 안절부절하다, 애타다, 애통터지다, 전전 긍긍하다, 조마조마하다, 조바심나다, 초조하다 …… [4] 미안함 미안하다, 송구하다, 죄송하다, 죄스럽다 …… [5] 위축감 기죽다, 시무룩하다, 위축되다, 의기소침하다, 주눅들다, 풀죽다 ……
'동양어문학, 동쪽의 말과 이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정동사가 지니고 있는 의미적 특질 (0) | 2020.09.06 |
---|---|
칠정 중 오에 해당하는 감정 (0) | 2020.09.06 |
발화 상황과 만족 및 불만족의 의미 (0) | 2020.09.06 |
칠정에서 애에 해당하는 감정 (0) | 2020.09.06 |
감정의 의미 영역 (0) | 202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