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essetos

명사 분류표를 이용한 공기 제약 관계 본문

동양어문학, 동쪽의 말과 이름

명사 분류표를 이용한 공기 제약 관계

③℃ 2020. 9. 6. 09:00

4.3.1.2. 재미있다 ‘재미있다’를 Chomsky(1965) 명사 분류표를 이용하여 공기 제약 관계를 보이면 아래와 같다. ① 재미있는 {여인/애인/소년/누나/학자} 민호는 그 {여인/애인/소년/누나/학자}가 재미있었다. ② 재미있는 {개/토끼/곰/물개/낙타} 민호는 그 {개/토끼/곰/물개/낙타}가 재미있었다. ③ 재미있는 {*책상/*지갑/사진/도시/*눈물/*손수건/*칼/거리/*하늘} ㄱ. 민호는 그 {사진/도시/거리}이/가 재미있었다. ㄴ. 민호는 그 {책상/지갑/손수건/칼}의 모양이 재미있었다. ㄷ. 나는 그녀의 눈물의 의도가 재미있었다. ④ 재미있는 {?기대/*슬픔/사랑/*정확성/미래/*행복} ㄱ. ?공부도 하지 않았으면서 합격을 바라다니, 네 그런 기대가 재미있다. ㄴ. 나는 그와의 사랑이 재미있었다. ㄷ. 앞으로 펼쳐질 미래는 재미있을 것이다. ⑤ 재미있는 {재롱/거짓말/*성장/장면/순간/?성공/원인} ㄱ. 나리의 재롱은 항상 재미있다. ㄴ. 나는 네 거짓말이 재미있더라 ㄷ. 난 그가 넘어지는 장면이 재미있더라. ㄹ. 나는 그때 그 순간이 참 재미있더라 ㅁ. 나는 그들이 헤어지게 된 원인이 재미있었다. ⑥ 재미있는 {춘향/비너스/시저/제우스} ㄱ. ??나는 나이 어린 춘향이 재미있더라. ㄴ. ??나는 뚱뚱한 비너스가 재미있더라. ㄷ. 나는 소년시절부터 동성연애 했다는 시저가 재미있더라 ㄹ. 나는 자신의 정욕을 채우기 위해 동물로도 변신하는 제우스가 재미있더라. ⑦ 재미있는 {나비/바둑이/호돌이} 나는 우리집 {나비/바둑이/호돌이}이/가 재미있다 ⑧ 재미있는 {서울/대한민국/페르샤/나폴리} ㄱ. 서울은 재미있는 곳이다 ㄴ. 대한민국은 재미있는 나라다. ‘재미있다’는 ①과 ②에서는 ‘우습다’와 마찬가지로 공기 제약이 없다. ③에서는 ‘우 습다’와 달리 ‘도시, 거리’와 공기가 가능하다. ‘우스운 거리’는 어색하지만 ‘재미있 는 거리’는 어색하지 않다. ‘재미있는 거리’는 ‘놀기에, 혹은 관광하기에’ 재미있는 - 130 - 거리일 수도 있고, 그 거리의 문화가 재미있다는 의미일 수 있다. ‘재미있는 도시’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정책, 문화’ 등이 재미있다는 의미일 수도 있고, ‘놀기에, 관광하기에’ 재미있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⑧의 명사들도 ‘재미있는 {서울/대한민국/페르샤/나폴리}’하면 ‘{서울/대한민국/페르샤/나폴리}의 {문화/정책}’ 이 재미있다는 말이기도 하고 ‘놀기에, 관광하기에’ 재미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우 습다’는 ‘문화, 정책’ 등이 우습다는 말이지 ‘놀기에, 관광하기에’ 우습다는 말은 아 니다. 그리고 ⑥에서 ‘재미있다’와의 공기여부는 ‘춘향, 비너스 시저, 제우스’의 모습이 나 행동, 성격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인간을 지시하는 고유명사는 재미있는 모습 을 가졌거나 행동을 했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으면, ‘재미있다’와 공기가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고, 그렇지 못하다면 공기가 불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4.3.1.3. 즐겁다 ‘즐겁다’를 Chomsky(1965) 명사 분류표를 이용하여 공기 제약 관계를 보이면 아 래와 같다. ① 즐거운 {여인/애인/소년/누나/학자} ㄱ. *민호는 그 {여인/애인/소년/누나/학자}이/가 즐거웠다. ㄴ. 그 {여인/애인/소년/누나/학자}은 즐거웠다 ② 즐거운 {*개/*토끼/*곰/*물개/*낙타} ㄱ. *나는 그 {개/토끼/곰/물개/낙타}이/가 즐거웠다. ㄴ. *그 {개/토끼/곰/물개/낙타}는 즐거웠다. ③ 즐거운 {*책상/*지갑/*사진/도시/*눈물/*손수건/*칼/거리/*하늘} ㄱ. 나는 그 {도시/거리}이/가 즐겁더라. ㄴ. *나는 그 {책상/지갑/손수건/칼}의 모양이 즐겁더라. ㄷ. *나는 그녀의 눈물의 의도가 즐거웠다. ㄹ. *나는 {하늘/사진}이 즐거웠다. ④ 즐거운 {기대/*슬픔/사랑/*정확성/미래/*행복} ㄱ. 나는 우리의 {기대/사랑}이 즐거웠다. ㄴ. 앞으로 펼쳐질 미래는 재미있을 것이다. ⑤ 즐거운 {재롱/*거짓말/*성장/?장면/순간/성공/*원인} ㄱ. *나는 하루가 다르게 커가는 아이의 성장이 즐겁더라 - 131 - ㄴ. ?난 그가 다시 성공을 다짐하는 장면이 즐겁더라. ㄷ. 나는 그때 그 순간이 즐겁더라. ㄹ. *나는 그들이 헤어지게 된 원인이 즐겁더라. ⑥ 즐거운 {춘향/비너스/시저/제우스} {춘향/비너스/시저/제우스}는 즐겁다 ⑦ 즐거운 {나비/바둑이/호돌이} {나비/바둑이/호돌이}는 즐겁다 ⑧ 즐거운 {서울/대한민국/페르샤/나폴리} ㄱ. 서울은 즐거운 곳이다 ㄴ. 대한민국은 즐거운 곳이다. ‘즐겁다’는 원인 중심 감정동사이다. 따라서 ‘즐겁다’는 의미적 측면 뿐 아니라, 통 사적 측면에서 대상 중심 감정동사인 ‘우습다, 재미있다’와 약간 다른 공기 양상을 보인다. ①의 ‘즐겁다’는 ‘여인, 애인, 소년, 누나, 학자’와의 공기관계가 ‘즐거운 여 인’ 등처럼 수식관계는 가능하지만, ‘여인, 애인, 소년, 누나, 학자’이 대상이 되면 ①의 ‘ㄱ’처럼 공기할 수 없다. ②는 수식 관계나 서술 관계나 모두 공기제약이 따르는데, 이는 감정동사가 구 문의 주어가 경험주 주어로서 모두 ‘유정체’이면서 [+인간성]을 내포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 이들이 공기 관계가 가능하기도 한데, 이것은 동물을 의인화하여 서술할 경우로 특히 ⑦처럼 애완 동물일 경우는 자연스럽게 느 껴진다. 또 ③에서보면, ‘도시, 거리’와 공기가 가능하고, ‘책상, 지갑, 사진, 눈물, 손수건, 칼, 하늘’과는 불가능한데, 특히 ‘책상, 지갑, 사진, 눈물, 손수건, 칼, 하늘’에는 ‘모 양’을 결합시켜도 공기 관계가 불가능하여 ‘우습다, 재미있다’와 차이를 보인다. 그런데, 감정이 대상 중심적일 경우는 대상에 대해 어떤 평가적인 의미가 강하 고, 원인 중심적일 경우는 경험주의 내면의 감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대상에 대한 평가적인 의미는 약하다. (48) 나는 영화가 재미있다. (49) ?나는 영화가 즐겁다 - 132 - 예문 (48)의 ‘재미있다’는 영화에 대한 경험주의 경험을 나타내는 것으로 영화에 대한 평가적인 요소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예문 (49)의 ‘즐겁다’는 ‘나는 영화 를 보고 즐거워졌다’라는 의미로 영화에 대한 평가적 요소보다는 경험주의 감정 상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원인 중심 감정동사인 ‘즐겁다’는 ①②⑥⑦ 의 서술구조에서 제약이 따른다. 또 ‘재미있다’와 ‘즐겁다’는 ‘기대’에서 공기 양상에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최경 봉(1998)의 분류표에서 ‘눈, 비’의 공기와 제약을 보이는 양상과 같은 현상으로 보 인다. ‘재미있는 눈’은 어색해도 ‘즐거운 눈’은 어색하지 않는데, 이것은 다가올 미 래의 어떤 사태에 대해 기대하는 심리와 관련이 있다. ‘즐거운 것’은 ‘재미있는 것’ 에 비해서 미래에 다가올 어떤 것을 기다리거나 바라는 기대치를 갖고 있는 감정 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즉, ‘즐거운 휴가’에는 다가올 ‘휴가’를 기대하는 감정이 들 어있는 것이고, ‘재미있는 휴가’는 다가올 ‘휴가’를 기대하는 감정보다는 휴가를 보 내는 방법에 대한 평가적인 측면이 개입해 있다는 것이다. 4.3.1.4. 기쁘다 ‘기쁘다’를 Chomsky(1965) 명사 분류표를 이용하여 공기 제약 관계를 보이면 아 래와 같다. ① 기쁜 {여인/애인/소년/누나/학자} ㄱ. *나는 그 {여인/애인/소년/누나/학자}이/가 기쁘다. ㄴ. 그 {여인/애인/소년/누나/학자}은/는 기뻤다 ② 기쁜 {*개/*토끼/*곰/*물개/*낙타} ㄱ. *나는 그 {개/토끼/곰/물개/낙타}이/가 기쁘다. ㄴ. *그 {개/토끼/곰/물개/낙타}은/는 기뻤다. ③ 기쁜 {*책상/*지갑/*사진/*도시/눈물/*손수건/*칼/*거리/*하늘} ㄱ. *나는 그 {도시/거리}의{정책/문화}이/가 기쁘더라. ㄴ. *나는 그 {책상/지갑/손수건/칼}의 모양이 기쁘더라. ㄷ. *나는 그녀의 눈물이 기뻤다. ㄹ. *나는 {하늘/사진}이 기뻤다. ④ 기쁜 {*기대/*슬픔/사랑/*정확성/미래/*행복} ㄱ. 나는 우리의 사랑이 기뻤다. ㄴ. 앞으로 펼쳐질 미래는 기쁠 것이다. ⑤ 기쁜 {*재롱/*거짓말/*성장/*장면/순간/성공/*원인} - 133 - ㄱ. *나는 우리 나리의 재롱이 기쁘다. ㄴ. *나는 니 거짓말이 기쁘다. ㄷ. *난 그가 다시 성공을 다짐하는 장면이 기쁘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