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ssetos
감정동사의 소극적 통제성 본문
다만 그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기뻐하는 내색을 하지 않는 정도는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감정동사는 ‘소극적’ 통제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감정동사는 ‘비의도성’과 ‘소극적 통제성’의 특성을 지닌다는 것인데, 지금 까지의 논의를 보면 ‘비의도성’은 감정동사 구문이 ‘의도법’, ‘약속법’, ‘청유법’, ‘명 령법’의 서법 실현에 제약이 있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있었고, ‘소극적 통제성’은 이 러한 서법 제약이 예외적으로 실현되는 경우에서 확인할 수있다 그리고, ‘의도법’, ‘약속법’, ‘청유법’이 예외적으로 실현되는 경우는, 대상 중심 감 정동사 구문에서만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통제 가능성’이 원인 중심 감정동사 보다는 대상 중심 감정동사에 더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명령법이 부 정의 명령형만 취할 수 있는 것은, 감정의 발생보다는 감정의 소멸에 ‘통제 가능 성’이 더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4.1.4. 경험성과 평가성 본고 2.1에서 언급했듯, 감정동사는 경험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점에서 감정동 112) 특히 성경에는 감정동사가 명령형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1) ㄱ. 범사에 감사하라. ㄴ. 네 이웃을 사랑하라. ㄷ. 시기하지 말라. 교만하지 말라. - 102 - 사 구문의 주어는 항상 경험주로 실현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경험주를 주어로 하 는 감정동사 자체도 항상 경험성을 지니게 된다.113) ‘기쁘다, 슬프다’ 등의 감정동 사 의미는 그러한 감정을 느끼는 경험 주체가 경험한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27) ㄱ. 나는 이 번 일이 {기뻤다/슬펐다/괴로웠다/아쉬웠다/안타까웠다/암담했 다……} ㄴ. 나는 이 번 일로 {기쁜/슬픈/괴로운/아쉬운/안타까운/암담한……} 감정 을 경험했다. 그런데, 감정동사가 지니는 경험성은 평가의 의미도 함께 내재되어 있다.114) (28) ㄱ. 내가 그때 왜 그런 말을 했는지, 참 망신스럽다. ㄴ. 매일 같은 나날들이 반복되니, 권태롭다. ㄷ. 시험에 합격해서 기쁘다 ㄹ. 일을 다 처리하고 나니, 맘이 한결 가뿐하다. ㅁ. 그와 며칠째 소식이 두절되어 있어서, 걱정스럽다. 위의 예문의 ‘망신스럽다, 권태롭다, 기쁘다, 가뿐하다, 걱정스럽다’는 모두 감정주 체가 어떤 사태를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하여 발생한 감정들을 표현한 동사이다. 그런데 이 때 발생한 감정은 감정 주체가 내면적으로 느끼는 감정 상태로, 어느 정도 평가성의 의미를 지닌다. (28 ㄱ)에서 ‘망신스럽다’라고 표현하는 것은 ‘자신 이 한 말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이다. (28 ㄴ)의 ‘권태롭다’ 라는 표현은 매일 똑같은 날들이 반복되는 ‘사태’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를 내리 고 있는 것이다. (28 ㄷ,ㄹ)은 시험에 합격한 일에 대해, 일을 다 처리한 상황에 대 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이고, (28 ㅁ)은 두절된 소식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이다.115) 113) 김흥수(1989)에서는 내적 경험성을 상정하여 심리동사의 경험성을 기술하고 있다. 114) J. Reeve(1997, 정봉교譯, 2000 : 502)에서는 감정 주체가 느끼는 감정은, 지각에서 평가로 그리고 이 평가가 다시 감정으로 나타난다고 본다. - 103 - 감정동사의 이러한 평가성은 대상 중심 감정동사에서는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 다. (29) ㄱ. 네가 이제 와서 그런 말을 하다니, 가증스럽구나. ㄴ. 막 말문이 트이기 시작하는 유아는 누가 되었든 귀엽다 ㄷ. 말없이 자기 일을 묵묵히 해나가는 사람은 듬직하다. ㄹ. 거동이 불편한데, 가족이 하나도 없는 노인은 불쌍하다. ㅁ. 언제나 투덜거리며 불만거리만을 이야기하는 사람은 밉살스럽다. (29)의 ‘가증스럽다, 귀엽다, 듬직하다, 불쌍하다, 밉살스럽다’는 감정 주체가 내적 으로 경험한 감정이면서 동시에 대상에 대한 평가성의 의미도 함께 지닌다. (29 ㄱ, ㄹ, ㅁ)은 대상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 의미가 내재되어 있고, (29 ㄴ,ㄷ)은 대 상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이처럼 감정동사는 경험주를 주어로 한다는 점에서 모든 감정동사가 경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모든 감정동사는 어떤 사태에 대한 어느 정도 평가성의 의미 가 내재되어 있다. 4.2. 의미 영역 115) 김흥수(1989 : 169-173)에서는 경험과 평가, 판단의 의미를 서로 구별하여, 심리동사 가 경험의 의미를 지니는 경우와 평가의 의미를 지니는 경우를 구별하였다. (1) ㄱ. 나는 노래를 듣다 보니 지금 이 노래가 슬프다. (경험) ㄴ. 나는 평소에 노래를 들을 때처럼 이 노래라는 것이 슬프다. (평가) 그러나 (1 ㄱ)의 ‘노래가 슬프다’라고 표현한다는 것은, 감정주체가 노래에 대해 슬프 다고 평가했다는 의미가 이미 내재된 것이다. 만약 (1 ㄱ)의 ‘나’가 ‘슬픈 감정’을 느끼 고서 그 감정에 관해서 표현하지 않았다면, 그것은 내적 경험에서 멈출 것이다. 그러 나 (1 ㄱ)처럼 듣고 있는 노래에 대해서 느껴지는 감정을 표현한다면, 그 표현된 감정 은 경험성과 함께 평가성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노래가 슬프다’라는 표현은 노래에 대해 ‘슬프다’는 평가를 했다는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다만 (1 ㄴ)과 같은 표현은 ‘평가’의 의미가 강조된 표현이고, 일반적인 감정동사 구문인 (1 ㄱ)과 같은 표 현에도 평가의 의미가 완전히 배제된 것은 아니다. 이것은 모든 감정동사가 ‘~라는 것이 ~’라는 평가성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감 정을 표현한 감정동사는 경험성과 함께 평가성의 의미가 내재된 것으로 본다. - 104 - 본 절에서는 국어 감정동사가 가지는 의미를 영역별로 분류해 보고자 한다. 그 런데 감정에 대한 연구는 다윈에서 시작하여 철학, 사회학, 심리학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감정이 주관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복합적이고 미묘하다는 특성 때문에 그에 대한 정의가 쉽지 않다. Fehr & Russell(1984)에서 ‘감정 개념들은 정통적으로 정의를 내릴 수 없다’고 한 이래로 감정 개념에 대한 정의는 쉽게 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을 만큼 감정은 어 려운 주제이다(김기홍, 1979 : 2). 감정은 위와 같이 기본적인 개념을 정의하는 것만으로도 어려움이 많을 뿐만 아 니라, 의미 연접성의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감정동사의 의미 영역을 분류하는 것 또한 쉽고 명료한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의미 연접성은 다른 한편으로 감정동사 의 의미 영역 설정을 가능하게 해주기도 한다. 감정동사의 의미의 연접성은 감정 동사들 간에 많은 유의어들을 낳는데, 어휘가 유의관계를 보인다는 것은 어떤 의 미를 공유한다는 것이고, 의미를 공유하는 어휘는 공유하는 의미를 기본 의미 영 역으로 설정해서, 같은 의미 부류로 묶어 보는 일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그러 한 관계가 많다는 것은 같은 의미 부류로 묶어 볼 수 있는 어휘가 많음을 뜻한다. 바로 이런 점에서 국어 감정동사를 의미 영역별로 분류 해보는 일은, 감정동사의 의미 특성을 밝히는 한 방법으로서 필요한 작업으로 판단된다.116) 감정 동사의 의미 영역은 우선 본고의 부록에 제시된 감정동사 목록을 대상으로 하여, 유사하다고 여겨지는 어휘를 한데 묶어 가면서 영역 분류를 시도하되, 묶어 진 어휘 사이에 어느 정도 의미의 경계를 그을 수 있는 경우는 그 의미 영역을 달 리하여 분류하기로 한다.117) 예를 들면, ‘기쁨’이라는 의미 영역에는 ‘기쁘다, 우습다, 재미있다, 즐겁다, 행복 하다, 황홀하다, 신나다, 들뜨다, 흥겹다, 흥나다, 흥미롭다, 흥미진진하다, 설레다, 116) 김기홍(1982)에서는 ‘나의 감정은 ~다’와 ‘나는 ~를 느낀다’라는 틀에 들어갈 수 있 는 국어 감정 어휘 337개를 제시하면서, 이들의 영역을 ‘기쁨, 안도감, 애정, 감동, 감 사, 향수, 고독, 싫증, 동정, 질투, 부끄러움, 초조/당황, 실망, 후회, 놀라움, 공포, 근 심, 슬픔, 경멸, 증오, 분노, 존경’의 22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117)
'동양어문학, 동쪽의 말과 이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정에서 애에 해당하는 감정 (0) | 2020.09.06 |
---|---|
감정의 의미 영역 (0) | 2020.09.06 |
의도법과 약속법 그리고 청유법 제약 (0) | 2020.09.06 |
동사 의미 영역 분류 (0) | 2020.09.06 |
감정동사 의미의 연접성 (0) | 2020.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