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ssetos
동사 의미 영역 분류 본문
지금까지 ‘감동하다, 실망하다, 심심하다, 시기하다’가 문맥에 따라 내포하고 있 는 의미를 살펴보았는데,102) 감정동사가 문맥에 내포하고 있는 의미는 곧 또 다른 감정동사의 의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감정동사들의 의미가 서로 밀접하게 연접 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연접 양상을 고찰한 바에 의하면 한가지 동사에 연접된 여러 동사들 중에는, 모든 문맥에서 항상 나타나는 동사들이 있다. ‘감동하다’의 경우는 ‘만족스럽다, 기쁘다’의 동사와 항상 연접되어 나타나고, ‘심심하다’는 ‘불만스럽다, 102) ‘감동하다, 실망하다, 심심하다, 시기하다’는 각각 4.2의 의미 영역 분류에서 ‘감동’, ‘실망’, ‘외로움’, ‘시기’의 의미 영역에 해당하는 동사들로, 이들은 다른 동사류에 비해 서 대체로 그 연접 양상이 뚜렷히 나타나므로, 이들을 선택하여 고찰하였다. - 94 - 싫다, 바라다’와 항상 연접되어 나타나며, ‘실망하다’는 ‘불만스럽다, 싫다, 아쉽다, 안타깝다’의 동사 의미와 항상 연접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시기하다’는 감정 주체 가 스스로의 상황이나 능력 등에 대해서는 ‘불만스럽다, 싫다’의 동사와 항상 연접 되어 나타나고, 대상의 상황이나 능력에 대해서는 ‘부럽다, 바라다, 욕심내다’의 동 사와 항상 연접되어 나타나며, 그리고 이런 여러 감정들이 복합되어서 ‘불편하다’ 는 동사가 연접되어 나타난다. 이는, 감정동사가 문맥에 상관없이 항상 연접되어 있는 동사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103) 4.1.2. 인과성과 피동성 감정동사는 자극에 반응한 결과라는 점에서 인과적이고, 피동적이다.104) 인과적 인 특성은 다음의 ‘원인․이유’의 부사절, 이유 명시 구문, 사동문에서 볼 수 있다. (9) ㄱ. 지수는 비가 추적 추적 내리니까 울적했다. ㄴ. 할머니는 막내의 목소리가 들려서 너무나 반가웠다. ㄷ. 아이들은 혜진이가 바이올린을 연주하자 즐거워했다. (10) ㄱ. 민호는 항상 웃고 다녔기 때문에 사람들이 민호를 좋아했다. ㄴ. 나는 항상 혼자였기 때문에 외롭고 쓸쓸했다. ㄷ. 나는 어제 내가 한 일 때문에 마음이 괴롭다. (11) ㄱ. 지수의 매혹적인 풍모는, 민호를 설레이게 했다. ㄴ. 그의 긍정적인 대답은, 나를 안심하게 했다. ㄷ. 지수가 합격했다는 사실은 나를 들뜨게 만들었다. 위의 예문들은 감정이 발생하게 된 원인이 모두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는데, 이 원 인들에 대한 결과가 곧 발생한 감정이다.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것이 원인이 되어 서, 그 결과, 내 마음이 울적해지고, 막내의 목소리가 들리는 것이 원인이 되어서 그 결과 할머니가 반가운 마음을 가지게 된 것이다. 또한 ‘지수의 매혹적인 풍모’ 103) 이런 현상은 모든 감정동사에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104) 감정동사의 인과성과 피동성은 김흥수(1989)에서 언급된 바 있다. - 95 - 가 원인이 되어 그 결과 민호가 설레이는 마음을 갖게 된 것이다. 감정이 이처럼 인과적이라는 것은 한편으로 피동적이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감 정동사 구문은 위의 (9)과 (10)처럼 형태상으로는 능동문으로 보인다 할지라도, 내 면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9)′ㄱ. 추적 추적 내리는 비가 지수를 울적하게 만들었다. ㄴ. 둘째의 목소리는 할머니를 반갑게 만들었다. ㄷ. 혜진이의 바이올린 연주는 아이들을 즐겁게 만들었다. (10)′ㄱ. 민호의 항상 웃는 모습은, 사람들로 하여금 민호를 좋아하게 만들었다. ㄴ. 항상 혼자인 내 모습은, 나를 외롭고 쓸쓸하게 만들었다. ㄷ. 어제 내가 한 일은 나의 마음을 괴롭게 만들었다. 위의 예문 (9)′와 (10)′는 사동문이다. 감정동사 구문은 위와 같이 사동문의 의미 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감정동사의 감정 의미를 경험하는 감정 주체는 항상 피사동주로 실현되어, 실질적으로 감정동사가 가지는 의미는 ‘피동성’ 으로 나타난다. 감정동사는 이처럼 형태상으로는 능동 구문일지라도, 감정동사가 가지는 내면적인 의미는 피동성을 가진다.105) 이러한 피동성은 감정동사가 ‘-어지다’나 ‘-게 되다’와의 결합에서 대체로 자유롭 게 실현되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106) 다음은 그 예이다. (12) ㄱ. 스트레스를 풀어주기는커녕 되레 마음만 울적하게 되고 말았어. ㄴ. 이쯤 되면 아래 사람들이 상당히 괴로워지는 노릇이다. ㄷ. 죽게된다고 생각하니 묘하게 슬퍼지기까지 하는 것이었다. ㄹ. 그날부터 용하는 공연히 혜진이가 미워지기 시작했다. 105) 경험주 주격 구문과 여격 구문과의 관계를 능동문이 피동문이 되는 관계로 해석하는 관점(이익섭, 1978)은 감정동사가 지니는 이러한 피동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106) 본고 3.3에서 ‘-어지다’와 ‘-게 되다’는 ‘기동상’의 상적 의미를 갖는 것으로 처리하였 다. 이러한 견해가 곧 ‘-어지다’와 ‘-게 되다’의 피동성의 의미를 전적으로 배제한 것 은 아니며, 기동상의 상적 의미가 피동의 의미와 관련을 맺는 것으로 본다. - 96 - (13) ㄱ. 스트레스를 풀어주기는커녕 되레 마음만 울적하게 되고 말았어. ㄴ. 이쯤 되면 아래 사람들이 상당히 괴로워하게 되는 노릇이다. ㄷ. 죽게 된다고 생각하니 묘하게 슬퍼하게 되는 것이었다. ㄹ. 그날부터 용하는 공연히 혜진이를 미워하게 되었다. 또, 본고 3.4에서 감정 발생의 자극 요소인 ‘st’가 수의적이기는 하지만 모든 감 정동사 문장 구성 유형에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설정이 되어 있는데, 이것 또한 감정동사가 인과적이고 피동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107) 4.1.3. 비의도성과 소극적 통제성 감정동사는 감정을 표현한 어휘이다. 감정이 의식적 의도와 무관하게 저절로 발 생한다는 점에서 감정동사 또한 의도성을 지니지 못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 다.108) 감정은 그 발생이 ‘저절로’ 되는 것이지 ‘계획적으로’ 실현되는 것이 아니다. (14) ㄱ. *나는 계획적으로 {슬퍼졌다/갈등했다/걱정했다/고마웠다/긴장했다……}. ㄴ. 나는 저절로 {슬퍼졌다/갈등했다/걱정했다/고마웠다/긴장했다……}. 이러한 감정의 ‘비의도성’은 ‘의도법’, ‘약속법’, ‘청유법’, ‘명령법’의 서법 실현에 제약이 있는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15) ㄱ. * 키우던 개를 잊어버려서, 내가 노심초사하겠다. ㄴ. * 하얀 눈이 밤새 내리니, 내 마음이 싱숭생숭하겠다. ㄷ. * 그 사람이 그렇게 재주가 좋으니, 내가 질투하겠다. (16) ㄱ. * 시간이 이렇게 덧없이 흘러가니, 내가 참 허망하마. 107) ‘st’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라도, 그 ‘st’는 발화 상황에서 이미 전제되어 있거나 해서 생략이 된 것이지, 존재하지 않는 요소는 아니다. 108) 감정동사의 비의도성과 통제성에 관해서는 김흥수(1989)와 임은하(1998)에서 언급된 바 있다. 본 절에서는 서법 제약이나 부사와의 제약 양상을 통해 좀 더 다양하게 고 찰키로 한다. - 97 - ㄴ. * 그를 떠나 보냈으니 내가 후회하마. ㄷ. * 몇 달을 칩거하다보니, 내가 외로워하마. (17) ㄱ. *저 사람 참 매력있어 보이는데 우리 같이 좋아하자. ㄴ. *오늘 할 일도 없는데 우리 같이 심심해하자. ㄷ. *일이 자꾸 꼬여 가는데, 우리 같이 심란해 하자. (18) ㄱ. *슬픈 영화를 봤으니 슬퍼해라. ㄴ. *답을 가르쳐 주지 않았으니 궁금해해라. ㄷ. *그가 약속을 지키지 않았으니 그를 미워해라. 위의 예문 (15)는 ‘의도법’, (16)은 ‘약속법’, (17)는 ‘청유법’, (18)은 ‘명령법’의 예이 다. ‘의도법, 약속법, 청유법, 명령법’은 모두 주체의 ‘의도’가 개입되어 있는 서법이 다. 감정동사가 주체의 의지가 개입된 서법들에서 제약을 보이는 이유는 감정동사 가 감정 주체의 ‘의도’를 담고 있지 않다는 말로 해석할 수 있다. 감정동사가 감정 주체의 의도를 담고 있지 않다는 것은 ‘열심히, 당돌히, 경솔히, 못’ 등의 의지가 개입된 동태부사어와 대체로 결합할 수 없다는 점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동양어문학, 동쪽의 말과 이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정동사의 소극적 통제성 (0) | 2020.09.06 |
---|---|
의도법과 약속법 그리고 청유법 제약 (0) | 2020.09.06 |
감정동사 의미의 연접성 (0) | 2020.09.05 |
감정동사의 보편적 의미 특성 (0) | 2020.09.05 |
여격 구문과 의미 기능 (0) | 2020.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