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essetos

감정동사 의미의 연접성 본문

동양어문학, 동쪽의 말과 이름

감정동사 의미의 연접성

③℃ 2020. 9. 5. 23:00

이렇게 보면 ‘감동하다’라는 동사는 문맥에 따라서 ‘기뻐하다, 만족해하다, 반갑 다, 안심되다, 신뢰하다, 고맙다, 믿음직하다’ 등의 또 다른 감정동사 의미를 내포 한다는 것인데, 이는 ‘감동하다’의 의미가 ‘기뻐하다, 만족해하다, 반갑다, 안심되다, 신뢰하다, 고맙다, 믿음직하다’의 의미와 연접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101) 특이한 것은 위의 모든 예문에 ‘만족하다, 기뻐하다’가 공통적으로 내포되어 있다는 것이 다. 모든 감정동사는 문맥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내포되어 있는 동사들이 있다. 이는 다음의 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은 ‘실망하다’의 예이다. (6) ㄱ. 일이 계획대로 되지 않아 실망했다. ㄴ. 천박한 말씨 때문에 금방 실망하게 되는 사람도 있다. ㄷ. 아무 것도 발견하지 못하자 크게 실망하게 되었다. ㄹ. 잔뜩 기대했던 호텔 여행업계가 실망하고 있다. 한 나머지 감정들을 복합 감정으로 보는 관점은, 감정동사가 의미의 연접성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과 같은 관점이다. 101) 물론, ‘감동하다’가 반드시 ‘기뻐하다, 만족해하다, 반갑다, 안심되다, 신뢰하다, 고맙 다, 믿음직하다’의 어휘 의미와만 연접되어 있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고에서 예로 든 문장들을 통해 본 결과가 그렇다는 것으로, ‘감동하다’는 좀 더 다양한 동사 의미 들과 연접될 수 있다. - 91 - (6 ㄱ)의 ‘일을 계획대로 못했다고 실망하는 감정’에는 실천하려던 일이 있었는데, 그것이 계획대로 되지 않아서 불만스럽고 싫으며, 계획대로 일이 진행되었더라면 하고 아쉬워하는 마음과, 그렇지 못한 현실에 대해 안타까워하고 답답해하는 마음 이 등이 복합되어 있다. (6 ㄴ)의 ‘천박한 말씨 때문에 누군가에게 실망하는 감정’ 에는 상대에게 어느 수준의 기대감이 있었는데, 상대가 의외로 그 기대만큼의 수 준이 되지 못한 것에 대해 다소 놀라워하는 마음과, 상대에 대해 거북해하는 마음 등이 복합되어 있다. (6 ㄷ)의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해 크게 실망하는 감정’에는 뭔가를 발견하게 되리라고 기대하는 마음이 있었는데 발견하지 못하게 된 현실이 불만스럽고, 싫으며, 기대대로 뭔가를 발견했더라면 하고 아쉬워하는 마음과 그러 지 못한 현실에 대해 안타까워하고 답답해하는 마음 등이 복합되어 있다. (6 ㄹ)의 ‘잔뜩 기대했던 호텔 여행업계가 실망하는 감정’에는 호텔업계가 뭔가 좋은 일이 생기리라고 기대하는 마음이 있었는데, 그 기대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불만스럽고 싫으며, 그 기대가 이루어졌더라면 하는 아쉬움과 이루어지지 않은 현실에 대해서 안타까워하고 답답해하는 마음 등이 복합되어 있다. 이렇게 보면, ‘실망하다’라는 감정동사는 ‘기대하다’라는 동사 의미를 전제로 하 여, 문맥에 따라서 ‘불만스럽다, 싫다, 아쉽다, 안타깝다, 답답하다, 놀랍다, 거북해 하다’ 등의 또 다른 감정동사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는 곧 이들 어휘 의미가 서 로 연접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실망하다’도 공통적으로 내포하는 동사들이 있는데, ‘불만스럽다, 싫다, 아쉽다, 안타깝다’가 이에 해당한다. 다음은 ‘심심하다’의 예이다. (7) ㄱ. 아이들은 모두들 심심하게 앉아서 이쪽을 지켜보고 있었다. ㄴ. 한 잔만 마셔요. 혼자 마실려니 심심해서 그래요. ㄷ. 사실 나는 인간 세상이 너무나 심심해서 못 견디겠던 차다. ㄹ. 그 개는 오래도록 텅 빈 집에서 어쩌면 심심해서 미쳐버렸을지도 몰라. (7 ㄱ)의 ‘아이들이 모두들 심심해하는 감정’에는 아이들이 자신들이 처해있는 상 황이 싫고, 불만스러우며, 싫증나고 답답해하는 마음이 복합되어 있다. 더불어서 뭔가 재미있는 일이 생겼으면 하고 기대하는 마음도 있다. (7 ㄴ)의 ‘혼자 마시는 - 92 - 것을 심심해하는 마음’에는 누군가와 같이 마시고 싶어하는 마음과 마실 사람이 없는 상태가 불만스럽다는 마음 등이 복합되어 있다. (7 ㄷ)의 ‘인간 세상이 너무 나 심심해서 못 견디겠다는 감정’에는 인간 세상이 싫증나고 불만스럽고 답답하며 싫다는 감정과 인간세상이 좀더 재미있었으면 하고 바라는 마음이 복합되어 있다. (7 ㄹ)의 ‘오래도록 텅 빈 집에서 어쩌면 미쳤을 지도 모를 만큼 심심해하는’ 마음 에는 외로워하는 마음과, 혼자인 상태에 대해 불만스러워하고 싫어하는 마음, 더불 어 그런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마음 등이 복합되어 있다. 이처럼 ‘심심하다’는 어떤 상태가 불만스럽고 싫다는 마음과 그런 상황에서 벗어 나고 싶은 마음이 복합되어 나타나고, 맥락에 따라 싫증나거나 답답해하는 마음이 나타날 수 있고, 그 심심함의 정도가 심하게 되면 외로운 감정으로도 연결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심심하다’의 의미는 ‘불만스럽다, 싫다, 바라다’의 동사 의미와 공 통적으로 연접되어 있으며, 문맥에 따라서 ‘싫증나다, 답답하다, 외롭다’ 등의 동사 의미와도 연접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음은 ‘시기하다’의 예이다. (8) ㄱ. 그 날부터 사울은 다윗을 시기하고 의심하기 시작하였다. ㄴ. 그들의 갈등은 야심이 많아 서로 시기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ㄷ. 은자 몇 푼 벌어온 걸 시기하는 자들의 음해입니다. ㄹ. 허준이 금방 많은 것을 익히게 되자, 시기하는 마음이 일었던 것이다. (8 ㄱ)의 ‘사울이 다윗을 시기하는 감정’에는 사울이 다윗이 처한 상황을 부러워하 고, 그런 상황이 자신에게도 발생하기를 바라는 감정과, 그 상황을 욕심내는 감정, 그리고 자신이 처한 처지에 대해 불만스러워하는 감정과, 자신의 처지를 싫어하는 감정, 그리고 다윗을 싫어하는 감정, 그러면서 다윗이 자기보다 잘되지 않기를 바 라며, 다윗의 상황을 궁금해하는 감정 등이 내포되어 있고, 따라서 심적으로도 불 편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8 ㄴ)의 ‘야심이 많아 서로 시기하는 감정’에는 자신의 처지를 불만스러워하고 싫어하며, 상대방의 처지를 부러워하면서 자신의 처지가 상대보다 더 우월하길 바라고 욕심내는 마음이 복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상대는 못되길, 그러면서 자신은 잘되길 바라는 감정과, 상대의 상황 - 93 - 에 대해 궁금해하는 감정 등이 복합되어 있으며, 그런 다양한 감정들이 복합되면 서 심적으로 불편해하는 상태에 있다. (8 ㄷ)의 ‘은자 몇 푼 벌어온 걸 시기하는 감정’에는 상대가 은자를 벌어온 상황이 불만스럽고 싫으며, 그런 은자를 나도 벌 었으면 하고 바라는 감정과 상대의 은자를 욕심내는 감정, 그리고 심적으로 편치 않은 감정 등이 복합되어 있다. (8 ㄹ)의 ‘허준이 금방 많은 것을 익히는 것을 시 기하는 마음’에는 허준의 재주를 부러워하는 마음과, 자신도 그런 재주가 있었으면 하고 바라고 욕심내는 마음, 그런데, 자신은 그렇게 되지 못하는 현실에 대해 불만 스러워하고 싫어하는 마음이 복합되어 있고, 또 그런 다양한 감정들의 복합으로 인해 심적으로 불편한 마음이 있다. 이처럼 ‘시기하다’라는 감정동사는, 자신이나 자신이 처한 상황이 시기하는 상대 의 상황보다 못하다는 사실에 대해, 불만스러워하고 싫어하는 마음이 공통적으로 복합되어 있다. 또 상대나 상대가 처한 상황이 싫다는 감정, 그러면서도 상대가 처 한 상황을 부러워하고 자신도 그렇게 되길 바라거나 더 우월하기를 바라는 감정, 상대의 상황을 욕심내는 감정, 여러 감정들의 복합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불편한 상태의 감정들이 공통적으로 복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 시기를 받는 대상이나, 그 대상이 처한 처지에 대해 궁금해하는 감정도 복합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시기하다’는 ‘불만스럽다, 부럽다, 싫다, 바라다, 욕심내다, 불편하다’의 동 사의미와 공통적으로 연접되어 나타나고 문맥에 따라서 ‘궁금하다’ 등의 동사의미 와도 연접되어 나타날 수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