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5)
aessetos
여기에 사물의 성질이나 상 태는 나타내면서 만드는 어미 ‘ity'가 덧붙여져 만들어진 신조어23)이다. 상호텍스트성의 개념24)을 간단히 말하면 텍스트 간의 상호 관련성이라 고 할 수 있다.이것은 텍스트 상호 간에 존재하는 유기적 관련성을 가 리키는 용어로,이 개념이 처음 논의될 때에는 텍스트간의 영향 관계,즉 한 텍스트가 다른 텍스트와 연결되어 있다는 단순한 것이었지만 논의를 거치면서 점차 개념이 크게 확장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상호텍스트성이라는 문학적 용어를 처음 사 23) 김도남,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의 이해 교육』, 박이정, 2003. 24) 위의 상호텍스트성의 개념에 대한 정의는 김도남의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의 이해 교육』, 이상구의 『구성주의 문학교육론』, 김욱동의 『포스트모더니즘..
또한 교 17) 양미영, 「다문화교육을 위한 국어교과서 내용분석 : 10학년 16종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18) 임경순, 「다문화 시대 소설(문학)교육의 한 방향」, 『문학교육학』제 36호, 2011. - 8 - 과서 수록된 텍스트만을 자료군(君)으로 한정시켜 논의를 전개하고 있어, 교과서 수록 작품과 상호·연계시켜 보다 높은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여타의 작품들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다문화 문학 교육에 관한 논의는 현재 학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그 논문의 수가 상당히 많았다.주로 다문화소설의 주제 및 제제분 석과 효율적인 문학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 논의가 다수를 이루고 있으 며,교과서에 수록될 다문화 제제 선정이나 단원 설..
김은정6)은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실린 소설 작품을 분석하여 독서 교육 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여 문학 텍스트의 의미 찾아내기를 통한 독서 수업 방안을 고안하였다.소설의 내용 요소 측면에서 작품을 선정하여 실제 현장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수업 전개 방안을 제시하였다.이를 통해 문학 작품의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독서 교육이 학생들의 독서에 대한 흥미 유도와 이해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고 있음을 밝혔다. 김연정7)은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바탕으로 상호텍스트성의 개념과 원 리를 고찰해 봄과 동시에 교과서 수록 작품 간의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 로 한 유기적 배열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조소정8)은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소설 교육이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5) 선주원, 「상호텍스트성 관점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