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ssetos
텍스트 상호 간 유기적 관련성 본문
여기에 사물의 성질이나 상 태는 나타내면서 만드는 어미 ‘ity'가 덧붙여져 만들어진 신조어23)이다. 상호텍스트성의 개념24)을 간단히 말하면 텍스트 간의 상호 관련성이라 고 할 수 있다.이것은 텍스트 상호 간에 존재하는 유기적 관련성을 가 리키는 용어로,이 개념이 처음 논의될 때에는 텍스트간의 영향 관계,즉 한 텍스트가 다른 텍스트와 연결되어 있다는 단순한 것이었지만 논의를 거치면서 점차 개념이 크게 확장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상호텍스트성이라는 문학적 용어를 처음 사 23) 김도남,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의 이해 교육』, 박이정, 2003. 24) 위의 상호텍스트성의 개념에 대한 정의는 김도남의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의 이해 교육』, 이상구의 『구성주의 문학교육론』, 김욱동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선주원의『소설교육 의 원리와 방법』을 참조·발췌하여 정리하였다. - 13 - 용한 이론가는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Kristeva)25)였지만,그 개념의 기 원을 거슬러 올라가 보면 그 연원은 소쉬르(Ferdinand deSaussure)의 언어학 이론과 바흐친(MilkhailBakhtin)의 대화이론에서 찾을 수 있다. 소쉬르는 기호란 실체를 지칭하는 것이지만 기호는 실체를 지칭할 뿐 실체는 아니라고 했다.즉 실체를 기호화했지만 실체는 동떨어진 존재이 며,기호는 기호만의 다른 세계를 가진다는 것이다.이때 기호는 ‘대립’ 을 통해 그 의미를 드러내게 되는데 이런 언어의 대립관계가 기호 자체 의 의미를 명료화해가는 기본적인 전제가 된다.따라서 의미를 가진 낱 말,문장들의 집합체인 텍스트를 구성하기 위해 다른 것들과 상호텍스트 적인 관계를 맺는 것은 필연적인 것이다.26)소쉬르의 이러한 개념은 바 흐친으로 연결된다.바흐친은 대화주의 이론을 통해 역사적·사회적 맥락 아래에서 개인들은 말하고 응답하는 대화적 관계 속에서 서로에게 영향 을 준다고 보고 있다.상호텍스트성 개념은 특히 바흐친의 다성성(多聲 性)과 관련이 깊은데,다성적 문학이란 하나 이상의 다양한 의식이나 목 소리들이 완전이 독립적인 실체로 존재하는 문학을 말하며 이때 텍스트 안에는 다양한 목소리들이 모자이크처럼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이 렇게 여러 목소리들이 뒤섞여 배치되는 상황은 상호텍스트성의 성격을 가진다. 언어이론에서 시작된 이 개념은 줄리아 크리스테바에 의해 상호텍스트 성의 개념으로 문학이론에 도입되어 정교화된다.크리스테바는 (1996)에서 한 발화가 화자나 청자 또는 다른 발화와 맺고 있는 상호 관계에 따라 텍스트의 구성을 ‘수평적 관계’와 ‘수직적 관계’로 구별한다.수평적 관계란 한 발화가 화자(작가)나 청자(독자)와 25) 줄리아 크리스테바는 미메시스와 기호체계의 이행을 설명하면서, 상호텍스트성이라는 용어는 하나의(혹은 여러 개의) 기호체계가 또 하나의 기호체계로 전위(transposition)를 지칭하며 모 든 의미 실천이 다양한 의미 체계의 전위의 영역(상호텍스트성)이라는 것을 인정한다면, 우리 는 그것이 지닌 언술 행위의 ‘장’과 지시된 ‘대상’은 결코 유일하고 완전하며, 그것 자체들에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복수적이고, 파열되며, 탁상 모형이 될 수 있는 것이라는 것을 이 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였다. (줄리아 크레스테바 저, 김인환 역,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pp.66-67) 26) 김도남, 위의 책, p.99. - 14 - 맺는 관계이며,수직적 관계란 발화가 그 이전 또는 동시대의 다른 발화 (문학 작품)와 맺는 관계로 통시성 혹은 공시성을 갖게 되는 것을 뜻한 다.이러한 관계 중 발화의 수직적 관계를 가리켜 크리스테바는 상호텍 스트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그는 모든 새로운 텍스트들은 텍스트 들 간의 교차이므로 모든 텍스트들은 과거의 텍스트들을 이미 변형시켜 흡수하였고,미래의 모든 텍스트들에 의해 다시 변형되어 흡수될 것으로 보았다.따라서 독창적인 텍스트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텍스트들은 이 전까지의 존재해 있던 텍스트들의 재결합에 의한 산물에 불과하다고 하 였다.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은 조나단 컬러(Jonathan Culler)에 의해 재정의 된다.컬러는 “상호텍스트성은 어느 한 작품이 그 이전 텍스트들과 맺고 있는 관련성을 가리키는 명칭이라기보다는 작품이 한 문화의 담론 공간 에 참여하는 관련성을 가리키는 명칭으로,한 텍스트가 한 문화의 다양 한 언어나 의미 행위와 맺고 있는 관련성을 가리킨다.”27)고 설명한다.이 러한 관점에서 보면 모든 텍스트는 어떤 면에서건 서로 상관되지 않는 것이 없으며,다른 사회·문화·역사적인 것과 필연적인 관계성을 갖는다 고 할 수 있다.이때 상호텍스트성은 문학 텍스트뿐만 아니라 텍스트와 텍스트,주체와 주체사이,텍스트와 사회문화적인 영향 관계에서 발생하 는 모든 지식의 총체적인 연결에서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개념이다. 상호텍스트성이란 관계 혹은 행위로 생각될 수 있는데 이것은 곧 텍스 트들 간의 관계 혹은 관계 맺기를 통한 해독 행위를 의미한다.텍스트는 과거의 산물이지만 해독 행위는 현재형,미래형으로 남는다.이러한 인식 은 실제로 텍스트를 상정하고 상호텍스트적인 연결 관계를 파악하는 것 으로 이어지며 이는 데리다(JacquesDerrida)에 의해 범 텍스트성 개념으 로 발전하게 된다.데리다는 “텍스트의 요소들은 그 어느 것도 완전히 현존할 수 없고 다만 서로 다른 요소들에 의하여 언급되고 있을 뿐28)”이 라고 말한다.데리다에 의하면,하나의 텍스트 속에 있는 의미는 그것과 27)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 민음사, 1992, p.206. 28) 김성곤, 「탈구조주의 문학적 의의와 전망」, 『탈구조주의의 이해』, 민음사, 1990, p.20. - 15 - 연관된 맥락,즉 텍스트 내의 다른 요소들과의 상호관계에서 드러나기 때문에 결코 완전한 형태로 인식될 수 없다. 따라서 그 의미와 실재는 영원히 차이를 갖게 되며 끝없이 유보된다. 모든 텍스트들은 사슬처럼 연결된 관계에 의해 의미를 드러낼 수 있고 그 의미는 또 다른 텍스트와의 관련성 속에서 또 다른 의미를 갖게 된 다.결국 텍스트의 의미구성이란 한 텍스트 내에서 도출되는 것이 아니 라 다른 텍스트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29)이러한 데리다의 상호텍스트성 개념은 텍스트들이 독자와 필자로부터 독립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텍스트를 상호텍스트적으로 보다 넓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을 열어준다. 이와 같이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로 한 텍스트의 인식은 작가의 쓰기 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독자의 읽기에 의해서도 상호텍스트성이 실현된 다는 점을 드러내게 되는데,상호텍스트성은 이러한 텍스트 외적인 문제 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또 다시 개념의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인식은 「저자의 죽음」(1968)과 「작품에서 독자로」(1971)에 나타난 바르트(Roland Gérard Barthes)의 텍스트에 대한 견해30)를 넘어 서 수용미학이론에까지 그 영향을 미친다.수용미학자들은 형상학적 예 술이론에 기대어 작가가 창작해 놓은 인쇄물을 ‘텍스트(Text)'라 부르고, 독자가 읽고 재생해 낸 문학 텍스트를 ’작품(Work)'이라고 하여 생산자 중심의 텍스트와 수용자 중심의 텍스트를 구별한다.이들의 텍스트 개념 에 의하면 상호텍스트성은 생산자 측면과 수용자 측면에서 생각할 필요 가 있다.생산자 중심의 상호텍스트성이란 작가가 창작을 위해 여러 가 지 다양한 텍스트들을 인용하고 재진술하는 과정을 일컫게 된다.
'동양어문학, 동쪽의 말과 이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 (0) | 2020.09.06 |
---|---|
수용자 중심의 상호텍스트성 (0) | 2020.09.06 |
교과서 수록 작품과 교육적 효과 (0) | 2020.09.06 |
과정 중심 읽기 전략과 상호텍스트성의 원리 (0) | 2020.09.06 |
한국 사회의 다문화 구조 (0) | 202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