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5)
aessetos
그리고 이러한 학습자의 내 면의 변화는 문학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문학교육을 통한 다문화 교육의 높은 - 24 - 제 7차 교육과정 및 2007개정 교육과정 2009개정 교육과정 가.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 성을 추구하는 사람 나.기초 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다.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 를 개척하는 사람 라.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 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 하는 사람 마.민주 시민 의식을 기초로 공 동체의 발전에 공헌하는 사람 가.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 성의 발달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나.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 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다.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 있는 삶을 영..
상호텍스트성은 생산뿐만이 아니라 수용의 과정에서도 구현되므로 이 항목은 문학교육에서의 상호텍스트성을 강조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35) 위의 표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제6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부분을 참고 하여 만들었음을 밝힌다. 36) 김성민,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고전·현대문학 서사 비교 교육 방안 : 「운영전」과 「배따 라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p.37. - 20 - 닫힌 교재관 열린 교재관 -교사,교재 중심 -교과서는 교수 학습의 이상적 인 교재 -표준적인 단일 교과서 지향 -교육의 효율성,균질성,규범 성 중시 -완벽하고 이상적인 언어 자료 를 교재로 제공 -모방학습 강조 -내용 설명,분석 중심의 수업 -학습자,학습 목표 ..
반면 수용자 중심의 상호텍스트성이란 독자가 텍스트를 해석하기 위해 자신의 지식이나 경험을 기존의 텍스트들과 상호 관련시키는 모든 행위 29) 김성곤, 위의 책, p.98. 30) “하나의 텍스트란 수많은 여타의 텍스트들이 만나고 교차하는 지점에 불과하며, 결국 텍스트 는 기존의 텍스트에서 광범위하게 끌어낸 다층적 글을 담고 있다든가, 이미 존재하는 텍스트의 반복이요, 재활용일 뿐이다.”(장정렬, 「작가의 죽음과 독자의 탄생」,『문학의 새로운 이해』, 김인환 외, 문학과 지성사, 1996, p.93) - 16 - 를 일컫는다.31)특히 수용미학이론에서는 수용자가 가지고 있는 바람,선 입견,이해 등 작품에 관계된 모든 전제를 ‘기대지평’이라 명명하고,이 를 통해 수용자의 작품에 대한 이해의 범주가 결정된다고..